멘토 Pick! 25년 7월 첫째 주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주도 카카오 출신 멘토님께서 이번 주에 직접 선정한 아티클을 공유드립니다!
멘토's Pick에서 트렌디한 인사이트를 놓치지 마세요! 🚀
🤔 들어가기 전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 대부분 아티클은 영문으로 제공됩니다. 영문 글을 읽을 때 크롬 번역 플러그인을 쓰면 읽기가 불편하나, 크롬 플러그인 하나를 설치하면 한국어를 읽듯이 좀 더 쉽게 영어 아티클을 읽을 수 있습니다. Trancy Chrome 플러그인을 설치 후 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아티클을 읽고 어떤 점을 더 고민해 보고, 생각해 보면 좋을지 제시해 주시는
멘토님의 Comment
도 잘 활용해 보시면 좋습니다!
💡What is JWT, JWS, JWE, and JWK? When we should use which token in our business applications
- JSON 기반 보안 토큰의 핵심 구성요소인 JWT, JWS, JWE, JWK의 차이점과 각각의 역할을 설명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JWT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의 핵심 기술이지만, 많은 개발자들이 JWS와 JWE의 차이를 명확히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의 성격에 따른 적절한 선택입니다. 공개되어도 무방한 클레임(사용자 ID, 권한 등)은 JWS로 서명만 하면 충분하지만, 민감한 개인정보나 비즈니스 로직이 포함된 경우에는 JWE로 암호화해야 합니다.
특히 JWK와 키 관리 전략도 중요합니다. Key Rotation 정책이 있는지, JWKS 엔드포인트를 통한 공개키 배포는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서비스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JWT의 보안 수준을 결정하고 계신가요?
💡에러 0%, MSA에서의 Enum 관리 전략
- 토스뱅크가 MSA 환경에서 Enum deserialization 오류를 완전히 해결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소개합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MSA 환경에선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배포되고 동작하기 때문에 같은 enum을 쓴다는 말이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문제로 이어집니다.
하나의 공용 enum을 여러 서비스에서 쓰다가 어느 한 곳에서 필드 하나가 빠졌거나, 순서가 바뀌었거나, 이런 작은 변경이 실제 서비스 장애로 이어집니다.
코드 레벨에서 enum이 안정적이라 착각하기 쉽지만 MSA 환경에서는 enum도 결국 인터페이스의 일부입니다. 이런 enum을 어떻게 시스템 안정성 있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에러 0%, MSA에서의 Enum 관리 전략
- 이 글은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종종 간과되는 URL 기반 상태 관리의 타입 안정성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룹니다.
- URLSearchParams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타입 추론 누락, 값 파싱 오류, 타입 불일치 등 겉으론 잘 돌아가지만 위험한 패턴들을 하나씩 짚어줍니다.
💌 멘토님의 Comment
: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URL 쿼리스트링은 흔히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지만 의외로 타입 안전성이 거의 보장되지 않는 영역입니다.
요즘처럼 타입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중요한 프론트엔드 환경에서는 URL도 다른 입력과 마찬가지로 신뢰하면 안 된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지금 여러분의 앱은 URL에서 어떤 타입의 값을 어떻게 읽고 계신가요?
깊이 있는 인사이트와 현실적인 조언이 담긴 멘토님들의 인터뷰와 커리어 성장 콘텐츠가 데브클럽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실력 있는 현직 개발자 멘토들과 직접 소통하고, 생생한 실무 노하우와 커리어 성장 전략을 배워보세요!
이 컨텐츠는 F-Lab의 고유 자산으로 상업적인 목적의 복사 및 배포를 금합니다.